• 구글플레이 다운로드
  • 앱스토어 다운로드

보조배터리 기내 반입 가능 용량은? 항공사별 규정 총정리 (2025년 최신판)

✈️ 비행기 탈 때 보조배터리, 어디까지 가능할까?

– 여행자라면 꼭 알아야 할 '항공 보조배터리 반입 기준' 완벽 가이드

보조배터리 기내 반입 가능 용량은? 항공사별 규정 총정리 (2025년 최신판)

✅ 보조배터리는 수하물로 붙이면 안 됩니다!

국제항공운송협회(IATA) 및 대부분의 항공사 규정에 따라 보조배터리(휴대용 충전기)는 반드시 기내에 휴대해야 하며, 위탁수하물에 넣는 것은 금지되어 있습니다.


※ 이유는 리튬이온 배터리의 화재 위험 때문입니다.



⚠️ 기준은 mAh가 아니라 Wh!

‘100Wh’를 기준으로 허용 여부가 결정됩니다.


Wh 용량 기준 상태 반입 가능 여부
100Wh 이하일반 사용✅ 기내 반입 가능 (사전 승인 불필요)
100~160Wh 이하고용량 배터리⚠️ 항공사 사전 승인 필요, 최대 2개 허용
160Wh 초과산업용 등❌ 반입 불가 (기내/수하물 모두 금지)

💡 Wh 계산법: Wh = (mAh × V) ÷ 1000
예: 10,000mAh × 3.7V ÷ 1000 = 37Wh



🧳 들고 타는 건 OK! 그런데 ‘어떻게’ 들고 타느냐도 중요합니다

단순히 기내 반입만 가능한 것이 아니라, '보관 방법'도 안전 기준을 따라야 합니다.


예비 배터리(드론, 카메라 등)는 단자 쇼트 방지를 위한 절연 조치가 필수입니다.


  • 절연 테이프 부착: 노출된 단자(+)에 절연 테이프를 붙여 쇼트 방지
  • 지퍼백 또는 파우치에 개별 포장 (여러 개일 경우)
  • 원래 포장(케이스) 보관도 인정
  • 외관이 손상된 배터리는 반입 불가 (부풀음, 찢어짐, 눌림 등)
  • Wh 등 용량 표기 없는 제품은 반입 거절 가능


✈️ 항공사별 기본 가이드 (2025년 기준)

항공사 100Wh 이하 100~160Wh 절연 조치 비고
대한항공최대 5개 반입 가능사전 승인 시 2개예비 배터리 절연 필수수하물 금지
아시아나항공기내 반입 가능사전 승인 필요개별 포장 권장용량 표기 필수
제주항공최대 2개 반입 권장사전 승인 필요절연 조치 필수원 포장 인정
진에어·티웨이 등기내 반입만 가능사전 승인 필요지퍼백+테이프 권장기준 확인 필요




📌 체크리스트 요약

  • 100Wh 이하인지 확인하기 (표기 없으면 반입 불가 가능성)
  • 기내에만 휴대 (위탁 금지)
  • 절연 테이프 부착 / 개별 포장
  • 외관 손상 여부 점검
  • 100~160Wh는 사전 승인 필요


💡 마무리 TIP

단순히 “기내에 들고 타면 된다”가 아니라, 배터리의 용량과 포장 방식까지 지켜야 안전하게 여행할 수 있습니다.


소중한 여행을 위해, 출발 전 내 보조배터리도 '탑승 준비 완료' 되었는지 꼭 확인하세요. ✈️

상품을 장바구니에 담았습니다!
최근 본 상품(0)